최근 은행권 대출 상승세가 주춤하다. 은행들은 대출 승인을 꺼리고 있고, 예비 차주들은 대출 신청을 머뭇거리고 있다.
6·27 가계대출 규제 여파다. 이 규제로 주택담보대출은 최대 6억원, 신용대출은 차주의 연소득 이내로 제한됐다. 은행들은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를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농협)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 대비 이달들어 9일까지 8521억원 증가했다. 이 속도라면 이달 가계대출 잔액은 3조4000억원대 늘어나는 데 그치게 된다.
지난 4~6월 각각 4조5337억원, 4조9964억원, 6조7536억원 늘었던 것과 비교해 1조원 이상 가계대출 증가폭이 감소하게 되는 셈이다.
하지만 정부 규제에 맞추려면 하반기 가계대출을 더 줄여야 한다는 게 은행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심지어 금융감독원은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하반기 가계대출 목표치를 다시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매주 월별·분기별 관리 목표치 준수 여부도 직접 점검하라고 당부하고 있어 최대한 보수적으로 목표치를 산정하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각 은행들은 대출 문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달부터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중단하거나 주기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상하는 식이다. 대출 심사도 더 깐깐하게 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오는 15일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를 발표한다. 3분기 은행들의 대출 기조를 가늠할 수 있다. 대출태도 종합지수가 전 분기보다 떨어지면 은행들은 대출을 옥죄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날 '5월 통화 및 유동성'도 공개된다.
16일 예정된 '6월 수출입물가지수'에도 관심이 쏠린다. 수출입물가지수는 발표 시점으로부터 1~2개월 후의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를 예상해 볼 수 있는 선행지표다.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진 시점에서 소비 위축까지 나타날지 주목된다.
17일에는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를 공개한다. 우리나라 국민이 보유한 금융자산(부채)과 비금융자산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다.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국민순자산은 2경3039조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 비금융자산은 2.1% 오른 2경1995조원, 순금융자산은 3% 오른 1045조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