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10명중 8명은 금융회사 광고가 왜곡되거나 과장됐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관이나 상품설명서가 너무 어렵다는 의견은 10명 중 9명에 달했고, 판매직원이 설명을 대충 한다는 불만도 절반 가까이 됐다.
금융위원회는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금융소비자 보호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금융위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만 19~69세 국민 104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금융회사가 소비자 보호에 노력한다는 응답은 37.9%에 불과했다. 나머지 62.1%는 노력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특히 금융회사의 윤리의식이 충분치 않다는 응답이 73.9%에 달했다. 1년전에 비해 5.5%포인트 높아졌다.
소비자들의 불신은 금융회사의 영업관행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응답자의 80.5%가 금융회사 광고가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됐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1년전보다 19.8%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약관과 상품설명서가 너무 어려워 불편하다는 응답은 88.7%에 달했다.
최근 5년내 구조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상품을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43.1%가 '판매직원이 설명은 대충하면서 서류에 필요한 서명부터 우선 안내했다'고 지적했다. 대출금리 결정과정이 불투명하다는 의견도 46.3%를 차지했다.
정부가 소비자 보호를 위해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엄정 제재와 적극적 피해구제를 요구하는 답변이 각각 31.4%, 24.6%로 절반이 넘었다. 정부가 상품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도 31.5%를 차지했다.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를 당했거나 이를 시도하는 경우를 접했다는 응답자는 41.6%에 달했다. 응답자의 69.6%는 금융사기에 대한 처벌강화를 요구했고 감독인력·조직확대를 요구하는 응답도 48.0%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