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인해 금융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금융당국이 비상대응본부 운영 등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상 금융거래를 신속히 파악하는 등 소비자 피해 예방에 주력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30일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금융 유관기관, 금융협회 등과 함께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현재 금융권은 부정 인증 등 관련해 특이한 징후는 포착되지 않은 가운데 기관별로 사고 예방을 위한 보안조치 등을 시행하고 있다. 향후 사고 가능성에 대비해 상시 대응태세를 갖추고 금융사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 강화 필요성 등에 공감하고 있다.
금감원은 유관기관·금융협회 등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금융권 대응 현황과 이슈를 신속히 파악하면서 부정·사기거래 등 금융사고에 대비해 사고 보고체계를 강화하고 일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금융보안원은 이상금융거래에 대해 금융권의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관련 정보를 금융사에 신속히 공유하고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신용정보원은 금융 소비자를 대상으로 안심차단 서비스를 적극 홍보하는 한편 안심차단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금융결제원은 오픈뱅킹 등 생활 밀접 금융 서비스에 대해 선제적 점검 후 보안 조치를 적용했다. 지속적으로 보안 현황을 점검해 고객 피해 방지에 주력하고 있다.
금융위는 대응현황 공유와 신속 연락체계 구축을 위한 비상대응본부를 구성·운영해 일단위로 금융권 대응 현황과 특이 사항을 보고토록 했다. 금감원과 금보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유의사항을 준수하고 노령층 등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대응을 강조했다.
아울러 금융결제원과 신용정보원 등 금융 인프라 기관은 해킹 등에 대비해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권대영 사무처장은 "SKT 해킹 사고가 금융 보안사고로 이어지면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금융 거래를 지속할 수 있도록 높은 경계감을 갖고 합심해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