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산이전이 다시 선거 공약으로 주목받을지 관심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주요 대선공약으로 정부 출범과 함께 현안으로 부상하면서 논란이 지속됐던 까닭이다.

국민의힘 주요 대선 후보들은 산업은행 부산이전을 부산 지역 주요 공약으로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 등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그런 만큼 부산이전 공약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산은 부산이전 공약 재등장할까

현재 정치권에서 산업은행 부산이전을 강조하고 있는 곳은 국민의힘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주요 공약이었고, 윤 정부는 출범 후 지속적으로 부산이전을 추진했던 만큼 대선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 역시 부산지역 민심을 잡기 위해 산업은행 부산이전에 힘을 싣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주요 후보들이 산업은행 본점 부산이전을 성공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선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고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산업은행 부산이전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고 있다. 지난 달 박형준 부산시장과의 대화에서도 관련 사안에 소극적인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는 부산을 포함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를 해양 수도로 만들겠다는 구상으로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만 공약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역시 과거 국민의힘 당대표 시절에도 산업은행 부산이전을 반대하는 산업은행 노조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하려면 산업은행법을 개정해야 한다. 윤 정부 시절 부산이전이 실현되지 않은 것도 산은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한 까닭이다.

대신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실질적 부산이전 효과를 위해 대규모 조직개편과 인사를 통해 부산 지역 조직의 규모를 키운 바 있다. ▷관련기사: 부산 조직 더 키우는 산업은행…"이러다 부울경 비중 40% 넘어"('24년 9월25일)

차기 산은 회장 인사 주목

산업은행은 본점 부산이전 이슈와 별개로 경쟁력이 약화된 국내 첨단전략산업 육성 첨병 역할을 맡았다.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조성해 운용 실무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부산이전 이슈가 몇년간 발목을 잡으며 은행내 핵심 인력이 이탈하는 등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첨단산업 위기 극복 선봉장?…스탭 꼬인 산업은행(3월11일)

이런 이유로 산업은행 내에선 차기 회장 인선에 더욱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기 대선이 6월3일로 예정된 가운데 강석훈 회장 임기도 6월5일로 끝난다. 강석훈 회장이 윤 정부의 주요 정책인 부산이전을 수행하기 위해 임명됐던 인사라면 차기 정부에서 산업은행을 이끌 수장으로는 정책금융에 능통한 인사가 필요하다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차기 회장은 부산이전 이슈에 매몰되는 게 아니라 산업은행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국가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며 "관련된 사안을 정치권에 전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